로고

화랑본국검
LOGIN MEMBERSHIP
  • 커뮤니티
  • 행사소식
  • 커뮤니티

    다양한 소식을 만나보세요.

    행사소식

    다양한 소식을 만나보세요.

    본국검의 황창검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888회 작성일 21-05-03 16:31

    본문

    정보수정 메모 로그아웃 관리자

    제 목 본국검의 황창검무
    · 작성자정보홈지기   - Homepage : http://www.bonkukkum.com
    ·
    font_size_fr.gif  font_plus.gifbt.giffont_minus.gif
    · File1 : sbrschool_7.jpg (107.6 KB), Download : 50
    · File2 : PB251489.JPG (1.31 MB), Download : 48
    sbrschool_7.jpg

    PB251489.JPG
    본국검(本國劍)의 기원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황창랑(黃倡郞)과 관창을 동일인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고려말 조선초 문인 이첨(李詹, 1345~1405)은 그의 문집인 ‘쌍매당집(雙梅堂集)’에서 “청랑(淸郞)이 아니라, 기실은 관창이 와전된 것이다”라고 했다. 황창랑 이야기가 황산벌에서 백제와 신라의 국운을 건 싸움에서 계백에게 죽은 관창의 이야기가 잘못 전해진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황창은 황창(黃昌)이라고도 하는데, 조선 말기의 문신 이유원(李裕元 1814~1888)이 편찬한 ‘임하필기(林下筆記)’의 해동악부(海東樂府) 황창랑무(黃昌郞舞)조를 보면,

    관창이 황창랑으로 와전된 것인데

    역사에서 격검장(擊劍場)을 근거를 찾을 수 없네

    여덟 살의 애꾸눈 아이[?童] 보복을 계획하여

    술 단지 앞에서 부여왕(夫餘王)을 깜짝 놀라게 했네.

    라는 시가 있다.

      



    여기서, 창랑(昌郞)은 여덟 살 때 신라왕을 위하여 백제에 보복할 계획을 하고 백제의 저자에 가서 칼춤을 추었다. 이에 백제의 왕이 그를 궁중으로 불러들여 칼춤을 추게 하였더니, 창랑은 그 자리에서 왕을 찔러 죽였다. 그래서 후세에 가면을 만들게 되었다. 창랑은 바로 관창의 와전이다라는 설명이 붙어 있다. 황창을 애꾸눈(眇童)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당시 일반적으로 이야기되던 것이었는지, 아니면 시적인 표현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황창과 관련해서는 ‘무예도보통지’ 본국검조에도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국검(속칭 신검(新劍)이라 한다) ‘여지승람(與地勝覽)’에 말하기를 황창랑(黃倡郞)은 신라인이다. 속설에 나이 7세에 백제에 들어가서 시중에서 칼춤을 추었는데, 이를 구경하는 사람이 담을 이룬 것 같았다. 백제의 임금이 이 이야기를 듣고 불러서 칼춤을 추도록 명하였다. 창랑이 이 기회를 타서 왕을 찔렀다. 그러자 (분노한) 백제 사람들이 창랑을 죽였다. 신라인들이 이를 애통하게 여겨서 그 얼굴 모양을 본 뜬 탈을 만들어 쓰고 칼춤을 추었다. 지금도 그 춤이 전한다. 또 신라는 왜국(倭國)과 이웃하고 있으므로, 그 칼춤이 반드시 전해졌을 것이나 밝혀낼 수가 없다. 이제 황창랑을 우리나라 검술의 시초로 삼고자 한다.

      

    7살 먹은 황창이 백제에 들어가 백제왕을 찌르고 죽음을 당했다고 하는데, 이 이야기는 ‘동경잡기(東京雜記)’ 풍속 ‘검무지희(劍舞之戱)’조에도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첨의 ‘쌍매당집(雙梅堂集)’에는 을축년 즉, 1385년 겨울에 칼춤을 추는 동자를 경주에 가서 보게 되었고, 이 동자로부터 황창랑의 이야기를 전해들었다고 한다. 7~8세의 소년이 아무리 검술에 능하다 해도 적국의 임금을 암살하기는 힘들다는 점에서 조금은 허황되게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여하튼, 이첨의 언급을 통해, 신라의 서울이었던 경주 지역에선 검무가 오랜 시간 동안 전승되고 있었음은 알 수 있다. 경주지역의 검무가 조선시대에 들어서도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었음은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황창랑이라는 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저기 저 사람 아직 어린애

    몸은 아직 석자도 못되는데, 어찌 그리 씩씩한가

    평생에 왕기(汪錡)가 바로 나의 스승이라.

    나라 위해 설욕하면 부끄러울 것이 없네.

    목에 칼을 대어도 다리 안 떨리고

    칼이 심장 가리켜도 눈 아니 흔들리네.

    공을 이루자 춤추고 사라지니

    산을 끼고 북해(北海)라도 뛰어넘을 듯하다.


    《동경잡기》권3 김종직시(264쪽)라고 설명했다.


    조선조 때 학자며 문필가였던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칼춤》을 읽어본다.


    신호와 함께 음악이 울리니

    온 좌석이 물결처럼 잔잔하다

    진주성안 고운 녀인 꽃같은 그 얼굴에

    군복으로 단장하니 남자맵시 의젓하네

    보랏빛쾌자에 푸른색 전립 눌러쓰고

    자리에 나와 절하고 일어선다

    사푼사푼 걷는 걸음 박자소리 맞춰가며

    쓸쓸히 물러가다 반가운듯 돌아오네

    나는 선녀처럼 살짝 내려앉으니

    외씨같은 버선발이 곱고도 고울시구

    한참 몸을 기울였다 불쑥 일어서면서

    열손가락을 뒤번뜩거리니 뜬구름과도 같구나

    한칼은 땅에 두고 한칼을 들어 휘두르니

    푸른 실뱀이 휘휘청청 가슴을 휘감는 듯

    홀연히 두칼 잡고 소스라쳐 일어선다

    사람은 보이지 않고 구름만 자우룩

    이리저리 휘둘러도 칼끝 닿지 않는구나

    치고 찌르고 뒤로 굴어보기에 소름끼친다

    회오리바람 소낙비가 빈골짝을 울리는 듯

    번개칼 서리발이 온 공중에 번쩍인다

    놀란 기러기처럼 안올 듯이 날아가다

    성난 보라매인냥 감돌아 노려본다

    댕그렁 칼을 놓고 사뿐히 돌아서니

    호리호리한 가는 허리 의연히 한줌일세



    신라의 녀인춤은 뛰여난 춤이라

    《황창무》 옛수법이 지금껏 전하누나

    칼춤 배워 성공한 사람 백에 하나 어렵거던

    몸매만 느리여도 재간없어 못한다네

    너 이제 젊은 나이 묘한 재주 가졌으니

    녀중호걸이라 너 아니고 누구이랴

    이세상 몇사나이 너로 하여 애태웠더냐

    때때로 선들바람이 장막안에 불어든다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